2019. 9. 7.
서울 세종문화회관 체임버홀

실내악 공연을 좋아한다. 귀가 좋지 않아서 교향악에선 악기 하나하나의 소리를 들으려면 일부러 들으려고 골똘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실내악은 아니다. 아늑한 공연장, 단촐한 편성, 그래서 그런가 뭔가 연주자들끼리 왠만한 신뢰가 아니면 하기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에서 오는 신뢰 등등. 실내악을 편애할 이유는 많다.

그럼에도 이 공연을 갈 수 있을지 정말 많이 고민했지만, 워낙 오래전에 어렵게 예매한 공연이기도 하고 당분간 테츨라프를 보기 어려울 것 같아서 한반도를 쓸고 간 태풍과 세종문화회관까지 로비까지 들이닥친 태극기부대를 뚫고 갔다왔다.​




1부 첫번째 곡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4번은 별로까진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아주 강렬한 인상을 준 것은 아니었다. 1월 테츨라프 연주를 듣고 이번 공연 레퍼토리를 보면서 사실 제일 기대 안 됐던게 베토벤인데, 뭔가 베토벤 곡에는 테츨라프스러움을 끼얹을 만한 틈이 없을 것 같달까. 미스가 나는데도 그를 듣는덴 또 그만한 이유가 있으니깐. 아무튼 베토벤은 그냥 무난했다.

두번째 곡인 프랑크 소나타는 눈이 번쩍 뜨였다. 1악장까진 아직 몸이 덜 풀렸는지 약간 단조로웠는데, 2악장부터 지난 1월 성공회성당 공연에서의 피리부는 사나이가 떠올랐다. 굉장히 야성적인 훅이 있다. 3악장의 속삭이는 듯한 레치타티보에서 피아노와 밀당을 하다가 다시 격정적인 패시지로 넘어가는 내내 눈과 귀가 함께 시원시원해지는 보잉 또한 홀리는데 한몫한 것 같다. 바이올린과 피아노가 조곤조곤하게, 서정적으로, 때로는 격정적으로 주고받는 캐논으로 진행되는 4악장은 바이올린과 피아노가 밀당을 밝은 선율로 행복하게 마무리 지으며 끝났다. 분명 조촐한(?) 실내악 무대였는데, 러닝타임내내 굉장히 다이나믹하다가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블록버스터 영화를 한편 본 느낌이었다. 테츨라프는 미스가 좀 있었지만 원래 그럼에도 미스가 난지 긴가민가하게 만들만큼 사람을 홀려놓는게 테츨라프 스타일이고, 반주자도 피아노 비중이 큰 곡을 매우 잘 소화했다.



2부는 수크의 피아노 5중주. 매우 생소한 곡이었고, 먹고 살기 바빠서 예습도 못하고 가서 이번에 무대에서 처음 들은 곡이라 뭐라 감상을 적기도 애매하다. 3악장은 피아노가 주인공이었고 1부 반주였던 피아니스트 키벨리 되르켄이 존재감이 확 두드러질만큼 좋았고, 4악장이 화려하고 격정적이었다는 직관적인 감상 정도?

서울시향 올해의 아티스트인 테츨라프의 아마 마지막 공연이었던 것 같은데, 확실히 1월 공연만큼 강렬한 충격을 받은 정도는 아니지만 그래도 나쁘지 않은 공연이었다. 베토벤보다는 프랑크소나타가 굉장히 재미있는, 테츨라프니깐 소화할 수 있는 사람을 들었다 놓는 스웩이 있는 연주였고, 수크 5중주는 전혀 모르는 곡이라 걱정을 좀 했지만 이 곡을 플레이리스트에 추가해야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의 매력은 충분한 연주였다.

Posted by AlixJ
,

2019. 1. 7.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서울시향 2019시즌 실내악 시리즈 첫 공연인 바이올리니스트 크리스티안 테츨라프 공연에 다녀왔다.



1부는 바이올린 독주로 진행됐고, 레퍼토리는 JS바흐의 무반주 파르티타 2번과 소나타 3번이었다.

사실 평소에 잘 듣지도 않는 바흐인데도 불구하고 요며칠 하루하루 사는데 바쁘단 핑계로 예습도 못하고 가서 좀 걱정이 됐는데 딱히 그럴 필요가 없었다.

힐러리 한이나 하이페츠처럼 자로 잰 듯 똑 떨어지는 연주 좋아하면 별로라고 느낄 수도 있을 것 같다만, 피리부는 사나이한테 홀린 느낌이었다. rules the stage한다는 말이 생각남. 교회당에서 하는 바흐(물론 이 곡들이 종교 음악은 아니다만) 곡치고 되게 섹시했다ㅋㅋ

특히 좋았던 부분은 파르티타 4,5악장과 소나타 2악장의 푸가. 지그에서 들었다놨다 쩔었고 샤콘느할때 공연장소가 적당한 에코가 있어서 그런가 진짜 비장했다. 숨도 조용히 쉬게끔.

서울시향 멤버들이랑 같이 한 2부는 드보르작 퀸텟 3번이었고, 5명이 연주함에도 굉장히 풍성하고 약간 쏘울마저 느껴지는 연주였다. 오늘 정말 버릴 곡 하나 없이 다 좋았지만 이 퀸텟 피날레에 홀딱 홀려버림.
공연장이 교회 건물 특유의 에코가 있어서 그런가 더 풍성하고 화려하게 들리기도 했다.

테츨라프 올해 공연 몇번 더 있는데 꼭 실연 보고싶다. 살기 바빠서 예매 안했는데 일단 해놔야겠다...고 생각했는데 실내악 시리즈는 매진이네ㅠ 음반보다 실연이 오지는 연주자라고 생각이 들었다.

기타1)
관크에 이제 기대를 내려놔서 그런가 오늘은 그다지 심하다고는 못느꼈다. 가령 음악의 숨이 죽기 전(?) 우레같이 터져나오는 브라보는 첫곡 파르티타 말고 없었다. 다만 파르티타 중간에 장장 5분가까이 15열쯤에서 열심히 기침하던 분은 진짜 청각 강탈이었다. 몇번 앞에 적었지만 성당 건물이라 작은 소리도 증폭되는거 같기도 하고, 공연장이 작아서 큰 공연장에서 관크가 희석되는 효과 따위 없음. 따라서 중간에 가방 떨어뜨린 사람 퍽!! 하는 소리도 피아니시모 도중 적나라하게 들림.
그리고 9열에 앉아있던 남자 분 하나는 내 근처에 앉아있었는데 1부 앵콜 도중 뚜벅뚜벅 나가서 여자분인 일행을 데리고 들어옴.

기타2)
공연장은 예뻤고, 유럽 가면 이런 성당이나 교회에서 하는 공연 좋아해서 일부러 찾아다녀서 분위기 자체는 몹시 좋았다. 근데 점점 추워졌고, 단차라곤 1도 없어서 앞자리라도 목 빼고 봐야해서 몹시 아픔. 점점 허리도 아파짐. 소리는 이 성당 공연 가본 적이 없어서 걱정했으나 기대 이상이었다.

기타3)
TMI지만 얼마전에 하콘 가서 본 양인모도 왔었다. 테츨라프 대기실에서 보고 왔는지, 공연 끝나고 좀 있다가 나와서 팬들이랑 찰나의 팬미팅?을 마치고 귀가하는 모습을 목격함.

기타4)
오늘 공연 프로그램북에서 발췌한 막짤. 매일 1시간만 연습 부분에서 다소 울컥했으나 공연 보고나니 드는 생각은 될놈될



@Seoul Anglican Cathedral

Posted by AlixJ
,